⚡git 명령어 설명
git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를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 해보려고 한다.
👉git help [명령어]
가장 기본적인 help 명령어 이다.
명령어를 입력하는 부분에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세한 설명과 사용 방법을 알수 있다.
👉git init
git init은 새로운 git 저장소를 생성합니다.
명령어를 실행할 때 현재 디렉토리가 git 저장소로 초기화되며, .git 디렉토리가 생성된다.
👉git clone
git clone은 기존의 git 저장소를 복제한다. 원격 저장소의 URL을 입력하면 해당 저장소를 로컬 컴퓨터로 복제한다.
👉git add
git add는 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합니다. 새 파일, 수정된 파일, 삭제된 파일 등을 staging area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 git add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파일 변경 내용을 추적하게 되며, 추적된 파일은 git commit을 실행할 때 커밋됩니다.
👉git commit
git commit은 staging area에 추가된 변경 사항을 커밋한다. 커밋 메시지를 추가하여 변경 내용에 대한 설명을 기록할 수 있다.
👉git push
git push는 로컬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한다. git push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로컬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보낸다.
👉git pull
git pull은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된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온다 git pull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가져와 로컬 저장소와 병합한다.
👉git branch
git branch는 브랜치를 생성하거나 브랜치 목록을 확인한다. git branch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현재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목록을 출력한다.
👉git checkout
git checkout은 특정 브랜치로 이동하거나, 파일을 이전 상태로 돌린다. git checkout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해당 브랜치로 이동하거나, 파일을 이전 상태로 돌려준다.
👉git merge
git merge는 브랜치를 병합한다. 두 개의 브랜치를 병합할 때 사용한다.
👉git stash
git stash는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을 임시 저장한다.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이 있지만,커밋할 수 없는 경우에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사항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. 저장된 변경 사항은 나중에 git stash pop 명령어를 사용하여 복원할 수 있습니다.
👉git log
git log는 커밋 로그를 확인한다. git log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 저장소의 모든 커밋 로그를 출력하고 커밋 ID, 커밋 메시지, 커밋한 사람, 커밋한 날짜 등을 확인할 수 있다.
👉git reset
git reset은 이전 커밋으로 돌아가거나, staging area에서 파일을 제거합니다. git rese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전 커밋으로 돌아가거나, staging area에서 파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👉git status
git status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.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작업 중인 Git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⚡생각
기본적인 git 명령어는 git을 사용하면서 공부를 했었기때문에 대략적으로는 알고 있었다. 그리고 intellij에서 git의 기능을 사용하다보니 bash에서 명령어를 통해서 상태 관리를 자주 사용을 해본적이 없었다. git으로 소스를 망칠뻔😭 하게 되면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를 하게 되었고 git을 사용하면서 계속해서 정리를 하고 사용할 예정이다. 참고로 각 명령어의 옵션의 경우 help 명령어를 통해서도 사용방법이 나오기 때문에 위의 명령어를 사용할때 옵션이 필요한 경우는 찾아 보아야 한다.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ssm으로 jar 파일 window service 등록 하기 (0) | 2023.05.15 |
---|---|
사용중인 Intellij 플러그인 정리 (0) | 2023.03.12 |
WSL2에서 Docker 구축 정리 (0) | 2022.10.02 |
Docker란 무엇인가?! (0) | 2022.09.25 |
[DevOps] wsl2 + Jenkins 구축 및 참조 사항 내용 정리 (0) | 2022.05.12 |